이클립스에서 SVN의 Branche나 Tag 기능을 사용하려고 할때 아래 오류메세지가 나타날경우, Get repository folder children operation failed. svn: E160013: URL 'http://주소/svn/test/branches' non-existent in that revision 이클립스에는 두가지의 svn 플러그인이 있다. 하나는 공식지원버전인 Subversive 이고, 두번째는 Subclipse이다. Subclipse의 경우 브랜치나 태그를 사용할경우 repository의 루트에 브랜치나 태그를 그대로 생성해버리기 때문에 branches 폴더나 tags 폴더를 필요치 않는다. Subversive는 나름 공식버전이라서인지 각각 브랜치와 태그를 자기 폴더내에 ..
구시스템 분석중에 jsp 경로를 찾기 쉽게하기위한 방법을 찾아보다가 없는듯하여 타일즈 관련 클래스를 직접 수정했다. org.apache.struts2.views.tiles.TilesResult.java public void doExecute(String location, ActionInvocation invocation) throws Exception { setLocation(location); ServletContext servletContext = ServletActionContext.getServletContext(); TilesContainer container = TilesAccess.getContainer(servletContext); HttpServletRequest request = Ser..
이전 버전과 다르게 CentOS 7 에서는 /etc/inittab 에 들어가도 부팅 순서 변경이 보이질 않는다. 여기서는 systemctl을 이용한 변경을 해야 한다. 현재의 런레벨을 확인하는 방법 # runlevel # who -r 런레벨 3(text mode)으로 변경 #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 systemctl get-default # reboot 런레벨 5(graphic mode)으로 변경 #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 systemctl get-default # reboot 바꿀 수 있는 런레벨 출력 # systemctl list-units --type=target
ALT+F11키시트우클릭->코드보기->아래코드삽입->실행 Sub kh() Dim R As Range Dim i As Integer Application.DisplayAlerts = False '경고문 출력제어 For Each R In Range("a1:a" & Cells(Rows.Count, 1).End(xlUp).Row) 'a2에서 a열 마지막행까지 작업 If R.Value = R.Offset(1, 0) Then '현재셀과 다음셀과 같으면. i = i + 1 '카운트 Else '현재셀과 다음셀과 다르면. i = i + 1 '하나더 카운트하고 R.Offset(-i + 1, 0).Resize(i, 1).Merge '현재셀에서 카운트만큼 옵셋한후 다시 범위를 잡고....병합 i = 0 '카운트 0 End I..
예전에 쓰던 코드인데 톰캣8에서 돌렸더니 아래와 같은 에러를 냈다. javax.el.ELException: Failed to parse the expression [${ item.new }] 이유는 톰캣7이후부터 new, class, static 같은 java키워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변경되었단다. 해결방법은 코드를 수정하거나 톰캣설정을 바꾸는방법이 있다. 1. 코드수정은 아래처럼 수정한다. ${ item['new'] } 2. 서버설정을 바꾸는 방법은 이클립스 연동한경우 Servers -> [프로젝트명] -> catalina.properties 파일의 맨 하단에 아래의 설정을 추가하고 재기동하면 된다. org.apache.el.parser.SKIP_IDENTIFIER_CHECK=true
11g는 exp명령어를 했을때 빈테이블은 덤프가 떠지지않음 그래서 expdp를 사용해야함 덤프뜨기 expdp test/test dumpfile=test.dmp schemas=test 덤프파일은 D:\app\Administrator\admin\orcl\dpdump 에 생김 해당파일을 복사할 DB가 있는 시스템에서 같은 위치에 덤프뜬 파일을 넣고 덤프 import 하기 덤프파일을 서버에 업로드후 서버에서 아래명령어 실행 impdp test/test@orcl dumpfile=test_testdmp schemas=test remap_tablespace=덤프테이블스페이스명:import할유저의테이블스페이스명
- Total
- Today
- Yesterday
- JsonMergePatch
- JsonPatch
- 우테캠
- SI
- 서비스회사
- intellij느려짐
- 12FactorApp
- 우테캠프로
- 코딩
- 코딩어레이키트
- IntelliJ
- jeus8
- JBR-2732
- JBR-526
- 아두이노
- code vision
- 코딩입문
- Arduino
- CODINGARRAYKIT
- 표준프레임워크 배치 jar
- 이직
- 2020.1
- TMK
- code mining
- coding
- 표준프레임워크 배치
- 2020.09
- 아두이노스토리
- shortkey
- CONDINGARRA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